누런잎은 (호분 + 황토 + 황 + 대자 + 노녹청) 으로 밑색이 칠해져 있는 상태이다.
초록잎은 (녹청 + 황토 + 대자) 로 밑색이 칠해져 있는 상태이다.
채색 순서
누런잎 바림
초록잎 바림
누런잎 선
초록잎 선
1. 누런잎 바림
(1) 진한색 바림
황토(많이) + 본남 + 녹청
한쪽만 바림하면 지루하므로
잎의 끝부분 또는 줄기쪽 부분에 칠하여 바림한다.
넓게, 진하게 칠하여 바림한다.
(2) 붉은 바림
홍매 + 호분 + 황토
진한 누런색 바림한 반대편에 바림한다.
진한색을 잎의 끝부분에 바림하였으면 붉은 바림은 줄기쪽을 하면 된다.
물감은 농도가 진하지 않게 만드므로 바림붓에 물기가 많지 않게 한다.
선이 아니라 둥글게 덩어리로 칠한후
바림붓을 눞혀서 처음부터 쓸어내린다.
붉은 색이 도드라지지 않고 바림한 부분이 밑색으로 섞여 들어가도록 바림한다.
2. 초록잎 바림
(1) 진한색 바림
녹청(많이) + 대자(많이) + 먹
강렬한 녹청은 대자로 누그러뜨리다.
(2) 붉은색 바림
대자 + 먹
3. 누런잎 둘레선과 잎맥
(1) 둘레선
황토 + 본남 + 대자
누렇게 칠해진 줄기의 둘레선도 친다.
흐리게, 가늘게 친다.
(2) 잎맥
둘레선 물감 + 본남(많이) + 황토 + 대자
줄기 부분은 굵게 시작하여 잎 끝으로 갈수록 가늘게 긋는다.
모란잎은 잎맥이 거의 잎 끝까지 닿게 그린다.
잔 잎맥선을 그을 때는 간격이 치우치거나 넓지 않게 균일하게 긋는다.
[누런잎 잎맥 긋기 동영상 1]
[누런잎 잎맥 긋기 동영상 2]
[누런잎 잎맥 긋기 동영상 3]
4. 초록잎 둘레선과 잎맥
(1) 둘레선
본남 + 녹청 + 대자 + 먹
(2) 잎맥
둘레선 물감 + 먹 + 본남 + 녹청
물감 농도를 진하게 만든다.
*
이 포스트는 - 손유영 민화 교실 - 수업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같은 그림을 그리더라도 수업 내용이 항상 같지는 않습니다.
사진과 실제의 색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그림 배우기 > 화접도 화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모란화접도 삼베발 - 나비 표현하기 1 (2) | 2015.04.24 |
---|---|
6. 모란화접도 삼베발 - 줄기 마무리 (0) | 2015.04.24 |
4, 모란화접도 삼베발 - 노란빛 흰모란 둘레선과 잎 바림 (0) | 2015.03.27 |
3. 모란화접도 삼베발 - 노란빛 흰모란, 붉은모란 바림하기 (0) | 2015.03.19 |
2. 모란화접도 삼베발 - 분홍빛 흰모란 바림하기 (0) | 201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