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를 기준으로 하여 도수를 정한다.
도수와 이름, 반음의 개수는 정해진 것이다.
이것은 외워야만 한다.
위치 |
C~C |
C~D |
C~E |
C~F |
C~G |
C~A |
C~B |
C~C' |
이름 |
완전1도 |
장2도 |
장3도 |
완전4도 |
완전5도 |
장6도 |
장7도 |
완전8도 |
반음 개수 |
0 |
0 |
0 |
1 |
1 |
1 |
1 |
2 |
즉 2도는 장2도라고 한다. 완전2도 라는 것은 없다.
마찬가지로 5도는 완전5도라고 하고, 장5도, 단5도 라는 것은 없다.
이해1
F 에서 A 까지는 (파 솔 라) 3도, 반음의 갯수는 0개 이므로 장3도 이다.
그런데 F 에 # 이 붙으면 반음 위로 올라간다.
시작음과 끝음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장3도가 짧아지면 단3도 가 된다.
이 단3도 에서
윗음 A 에 ♭(플렛) 이 붙으면 반음 내려간다.
거리가 더 짧아져 감3도 가 된다.
이해2
F 에서 A 까지는 (파 솔 라) 3도, 반음의 갯수는 0개 이므로 장3도 이다.
그런데 F 에 플렛이 붙으면 아래로 반음 내려간다.
즉 시작음과 끝음 사이가 멀어져 증3도 가 된다.
여기에 다시 A 에 샵이 붙으면 위로 반음 올라가서 거리가 더 멀어진다.
증3도가 더 길어지면 겹증3도 가 된다.
이해3
E 에서 B 까지는 (미 파 솔 라 시) 5도, 반음의 개수는 1개 이므로 완전5도 이다.
그런데 맨아래음 E 에 플렛이 붙으면 음 거리가 아래로 (+1) 늘어나 증5도 가 된다.
이 증5도에서 맨윗음 B 에 샵이 붙으면 음 거리가 위로 (+1) 늘어나 겹증5도 가 된다.
E 에서 B 까지는 완전5도 이다.
맨 윗음 B 에 플렛이 붙으면 음 거리가 아래로 (-1) 줄어 감5도 가 된다.
이 감5도에서 맨 아래음 E 에 샵이 붙으면 음 거리가 위로 (-1) 줄어 겹감5도 가 된다.
E 에서 B 까지는 완전5도 이다.
맨 윗음 B 에 플렛이 2개 붙으면 음 거리가 아래로 (-2) 줄어 겹감5도 가 된다.
E 에서 B 까지는 완전5도 이다.
E 에 플렛이 붙고 B 에 플렛이 붙으면
맨 아래음이 아래로 늘어나고 (+1) 맨 윗음이 아래로 줄어들어 (-1) 완전5도 이다.
이해4
C 에서 시작한 5도는 반음이 1개 있어 완전5도 이다.
그러나
B 에서 옥타브 위 F 까지는 5도인데 반음이 2개이므로
음 거리가 하나 줄어들어 감5도 이다.
그런데 윗음 F 에 샵이 하나 붙으면 위로 거리가 1 늘어나
C 에서 시작한 5도 와 같아져 완전5도 이다.
다시 B 에서 옥타브 위 F 까지는 감5도인데
아래음 B 에 플렛이 하나 붙으면 아래로 거리가 1 늘어나 완전5도 이다.
정리
1) 몇 도인지 숫자를 계산한다.
2) C에서 시작한 이름과 반음의 갯수를 기억해낸다.
3) 줄어들거나 늘어난 양 (갯수) 을 센다.
4) 줄어들면 표에서 왼쪽으로, 늘어나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5) 이름을 찾는다.
'단소 수업 안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유초신지곡 중 타령 (0) | 2012.09.11 |
---|---|
정악 줄고르는법 - 가야금 거문고 아쟁 (2) | 2012.08.19 |
현선생의 우리음악 기초강의 [3] C 를 기준으로 한 도수 계산 (0) | 2012.07.06 |
현선생의 우리음악 기초강의 [2] 오선보 음자리표 음이름 (0) | 2012.07.04 |
현선생의 우리음악 기초강의 [1] 음정 완전음정 (0) | 201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