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숙제.
나뭇잎 밑색 칠하기
녹청 + 황 + 호분 (2 : 2 : 1) + 먹 .
( . 표시는 점처럼 쬐끔 섞습니다.)
한 덩어리 칠하고 다음 다음것 칠하고, 다 마른 후 맞닿은 부분을 칠합니다.
1. 물색
(1) 본남 + 대자 (1 : 1) + 흰색
회색빛 물감을 만듭니다.
흰색 물감은 투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한국화 튜브 물감을 사용합니다.
만든 물감과 칠하고 마른 후의 색이 다르기 때문에 그림 여백부분에 칠하여 마른 후 색을 확인 하고 칠하기 시작합니다.
물결 전체를 칠하되 흰 물결은 칠하지 않습니다.
(2) 다 마른 후 잔물결 부분만 한 번 더 칠합니다.
3. 흰 파도 아랫부분 바림
본남 + 대자 (둘 다 봉채로 1 : 3 )
폭포수 아랫부분도 바림합니다.
바림하기 편하도록 그림을 돌려놓고 칠합니다.
4. 바위 밑색
호분(많이) + 황토 + 대자 + 물 + 등황 + 아교액 + 먹 .
마르면 거의 흰색이 됩니다.
두껍지 않게 흐리게, 넓은 부분은 바림붓으로 펴면서 칠합니다.
사진에 마른곳과 덜 마른 곳이 색이 다른것이 보입니다.
왼쪽 마른 후, 오른쪽 덜 마른 색
숙제.
나무 밑색 칠하기
주 (많이) + 적 (조금) + 바위물감 + 먹
* 진채 일월오봉도 삽병 입니다.
원본 고궁박물관 소장
*
이 포스트는 - 손유영 민화 교실 -의 수업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같은 그림을 그리더라도 수업 내용이 항상 같지는 않습니다.
사진과 실제의 색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그림 배우기 > 일월오봉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일월오봉도 - 바위 위에 선 긋기 (0) | 2015.08.07 |
---|---|
6~7. 일월오봉도 - 바위 2차 바림 (0) | 2015.08.07 |
4~5. 일월오봉도 - 바위 1차 바림 (0) | 2015.07.14 |
3. 일월오봉도 - 소나무 바림 (0) | 2015.06.19 |
1. 일월오봉도 - 본 그리고 아교포수하기 (6) | 201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