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아교가 딱 10g 이면 좋은데 그렇지 않죠. 손으로 분지르다가 부러진 단면이 손가락을 스쳐 피가 나고.. 커다란 펜치를 써서 어렵게 네 조각을 내서 500ml 생수병에 담가 놓았습니다.
아교포수액을 만들 때 늘 고민인것이 남으면 어찌할 것인가.. 황촉규지를 새로 사러 인사동에 가기도 어렵고 하여 집에 있던 안동순지 국무순화 (국산무표백순지화선지) 7,000원 짜리를 포수 하기로 계획을 세워 둡니다.
아교포수액을 만들 때 불린 상태에서 뜨거운 물에 녹기만 하면 되는줄 알았는데 저온에서 녹으면 접착력이 약하다고 합니다 고온일 경우 접착력이 떨어지고요 결국 녹인 후 만져보아 접착력을 확인해야 한다네요
2일 후
중탕 하면서 아교가 다 녹은 후에 계속 약한 불에 끓이면서 손가락에 묻혀 문질러 보아 끈기가 생기고 나서 불을 끄고, 미지근하게 식은 후에 백반이 녹은 물을 부어 주었다.
그 전에 녹말을 숟가락 고봉으로 한 스픈에 물 100g을 부어 녹인 후 냄비에 숟가락으로 저으면서 끓이니 금방 투명해 졌다. 너무 조금이라 흐르는 찬물에 식히지 않아도 금방 식었다. 이 때 체에 내렸어야 했는데 나중에 후회했다.
** 반드시 체에 내린다. 평평한 체는 평평한 주걱으로, 둥근 체는 둥근 주걱으로 풀을 체 밖으로 밀어낸다.
배접을 한 장 해 보았다
먼저 녹말풀 덩어리를 판넬 가장자리에 바르고 배접지에 물을 스프레이로 뿌려 늘려가며 판넬에 붙였다. 잘 되긴 했는데 당길 때 힘을 많이 주면 찢어진다. 주의해야 한다
손가락 한 마디 정도 깊이의 스텐 사각 쟁반에 (다이소에서 구입) 물을 조금 부어 넓은 풀 붓으로 치대면서 녹말 덩어리를 풀어 농도를 묽게 한다. 굳은 작은 조각들은 안풀어져서 빼내야 했다. 녹말풀 만들 때 찬물로 식혀서 막이 생기지 않게 하고, 고운 체에 걸르는 과정을 꼭 해야 한다.
배접지로 쓸 염색, 아교포수한 순지에 풀을 고루 칠하고 풀이 완전히 먹도록 기다린다
그동안 판넬 옆면에 다시 녹말 덩어리를 칠하고,
그림을 뒤집어서 물을 스프레이로 뿌려 물붓으로 가장자리를 잘 땡겨서 물감 때문에 쪼글쪼글 해진 것을 펴 놓는다. 타솔붓(탕탕이붓)으로 펴면 그림에 안좋을 까봐 물배접하는 붓으로 폈다.
그리고 긴 막대 (나무 장척 대신)에 물풀을 묻혀 배접순지 가장자리에 붙여서 배접순지를 들어낸다. 장력을 이용해서 그림 뒷면에 붙인 후 물배접 붓으로 잘 펴주고 떼어내서 판넬에 잘 붙인다. 완료! 물감이 번지지 않고 잘 되었다.
그늘에서 말린다
** 장척 대신으로 쓸 수 있는 두께가 있는 90cm (두께 7mm 너비 25mm) 소나무 막대를 호미화방에서 2,700원에 구입하였다.
** 잎맥이 너무 투명하다 잎맥도 뒷면에 호분을 칠해야겠다.
이제 아교를 잘 끓여 준비한 후 비단을 틀에 붙인다.
나무틀 뒷면에 녹말풀 덩어리를 고루 묻히고 비단을 붙인다. 요령이 있겠으나 나는 주워들은 것과 동영상(진채원), 검색(전통진채_젊은 장인들) 으로 안 정보 만으로 어찌어찌 붙인 후 앞면에 아교를 칠하고 비단을 팽팽하게 땡겨 주었다.
** 석채활용반에서 배운 내용이다.
나무틀에 만들어 놓은 풀을 칠하는데 한 번 칠한 후 손에 안묻을 정도로 말린 후
다시 한 번 풀칠을 한 후 약간 마르도록 기다린다.
잘라놓은 비단에 미세한 분무기로 물을 뿌린 후 비단을 틀에 올려놓고 붙여준다
붙이는 방법은 개인별로 다르지만 가로세로 올이 가지런하도록 붙인다.
사방에서 계속 당겨주거나, 위 아래, 좌 우를 같이 당겨주거나 한다.
팽팽하게 되도록 당겨 준 후에 말린다. 드라이기나 선풍기로 나무틀에 풀을 말려준다.
마른 후 평붓으로 오리나무 염액을 칠해준다.
비단을 얼마나 당겨야 할 지 알 수 없어서 비단이 젖은 상태로 팽팽하도록 당겼는데!
마르고 나니 비단이 쭈글 쭈글해졌다
순지와는 다르게 비단은 아교에 젖으면 팽팽해졌다가 마르면 늘어나는 것이었다!
고민을 하다가 비단틀 네 면 중 두 면을 떼어서 다시 풀을 붙이고 당겨 주었다 이때 마른 상태에서 그냥 당길 걸.. 아교를 칠하고 당겼다
(순지가 젖었을 때 늘어났다가 마르면 수축하는 것에 습관이 된 것이다)
비단이 당겨지는 탄성이 한계가 있는데, 당기는 과정에서 틀을 두드렸을 때 맑은 소리로 탕탕 비단 울리는 소리가 나서 잘 되겠지 했는데,
마르고 보니 작은 것 두 개는 또 비단이 늘어나 있다 여기엔 그림을 못그릴거 같다. 마른 후 다시 붙여볼까.
** 이유를 알았다. 나무틀에 풀칠을 두 번 해야 한다.
한 번 하고 손에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마른 후에 한 번 더 풀칠을 해서 살짝 마른 후에 비단을 붙여야 나무와 비단의 접착력이 높아진다.
교반수칠은 비단에 염액이 다 마르고난 후에 앞에 한 번, 뒤에 한 번, 앞에 한 번 (이것이 3번이라는 것이다)
칠한 후에 빛에 비추어 봐서 구멍이 뚫렸는지를 확인하고 구멍이 다 막힐 때 까지 칠하고 말리고를 반복한다.
다 막히고 난 후에도 더 칠하면 안된다.
교반수를 칠한 후에는 드라이기나 선풍기를 쬐면 안된다. 먼지가 달라붙으면 안떨어지기 때문이다.
평평한 곳에 놓고 마르는 동안 핀셋으로 먼지를 떼어낸다.
염액을 칠할 때는 먼지가 묻어도 마르면 떨어지지만 교반수(아교+백반+물) 칠에 붙은 먼지는 떨어지지 않는다.
처음에는 티가 잘 안나지만 배접을 하고 난 후에는 먼지들이 선명하게 눈에 보인다.
채색 하다가 먼지를 발견하면 물을 조금 묻히면 먼지가 떨어진다.
** 앞뒤로 세번씩이 아니라 앞, 뒤, 앞 이것이 3번이다.
한 번씩 칠했는데 벌써 비단에 아교막이 형성된 것이 있다비단이 올이 원래 고르지 못한가보다
** 내가 구입한 비단은 올이 거칠고 성긴 것이어서 올의 요철이 다 보이는 것이다.
잘 된 것을 본 적이 없어서 울퉁불퉁한 비단의 올이 이상했다
** 서령필방의 중국 비단은 올이 곱고 도톰하고 매끈했다.
마지막에 다 마른 후 남은 아교액에 동량의 물을 부어 그림 그릴 곳에 한 번 더 칠해 주었다
마르니까 팽팽해졌는데, 결국 비단도 젖으면 늘어났다가 마르면 수축하는 거였다
작은 틀에 비단이 젖었을 때 늘어났던 것은 틀이 좁아 비단의 장력을 이기지 못하고 풀 칠한 곳이 끌려 들어간 것이었다
** 이것은 나무틀에 풀을 두 번 칠해서 약간 마른 후에 비단을 붙이면 해결된다.
틀도 안쪽 1cm 정도 남기고 풀칠을 해야 하는 것이고, 비단에 아교도 0.5cm 남기고 칠해야 하는 것이었다
나무틀엔 아교가 안 묻도록 해야 한다. 아교가 묻으면 마르지 않는다
처음에 비단의 시작부분 (올이 안풀리는 곳)을 충분히 당겨 붙이고 옆을 또 충분히 당겨 붙인 후
나머지 ㄱ 자 부분을 당겨서 붙여야 한다고.. 비단에 풀칠한 것이 마르는 속도에 맞추어 비단에도 계속 스프레이로 물을 뿌려 젖은 정도를 맞춰 주어야 한다고 한다. 어렵다.
2018 (사)민화협회 석채활용반
'아교포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교포수 (4) | 2019.03.26 |
---|---|
아교포수가 다르게 되는 두 가지 순지 (1) | 2019.02.15 |
아교포수 하기 전에 먹선을 긋는 이유 (5) | 2018.06.12 |
지금까지 느껴본, 아교포수 2.7% 와 3% 의 차이점 (4) | 2018.04.19 |
석채활용반, 순지에 아교포수 (0) | 2018.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