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월오봉도 삽병을 그리고 있다.
일월오봉도, 호랑이, 용 을 그릴 때는 아교포수 하기 전에 먹으로 본을 뜬다.
같은 농도로 뜨지 않고 다른 농도로 선을 그어 먹의 농담 효과를 충분히 낸다.
아교포수 하기 전에 먹선을 뜨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교포수 한 후에 먹선을 그어 보았다.
일월오봉도는 아교 3% 로 교반수 칠을 한다.
그 위에 진한 먹선을 그으면 먹이 스며들지 않는다.
다시 아교포수 하기 전에 진한 먹선으로 물결을 그렸다.
충분히 그려진다. 번지지도 않는다.
농담 표현을 달리 하여 일월오봉도 삽병 본을 떴다.
그리고 나서 다린 후,
교반수를 칠할 때 혹시 먹이 번져올라올까봐 다림질을 한다.
아교 3%(물의) 백반 1/10(아교의) 로 교반수를 만들어 앞면에 칠해 주었다.
순지 : 안동순지 국무순화(국산 무표백 순지화선지) 2.6g 7,000원
아교 : 봉황아교
백반 : 봉황 정제백반
'아교포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교포수 (4) | 2019.03.26 |
---|---|
아교포수가 다르게 되는 두 가지 순지 (1) | 2019.02.15 |
시행착오 완성 - 비단틀 붙이고 아교포수하기 (2) | 2018.05.17 |
지금까지 느껴본, 아교포수 2.7% 와 3% 의 차이점 (4) | 2018.04.19 |
석채활용반, 순지에 아교포수 (0) | 2018.01.18 |